목록모든 글 (299)
개발자로 후회없는 삶 살기

서론 교과목 9주차 트랜스포머 내용을 정리합니다. 본론 - 정적 임베딩의 문제점 이건 한 번 학습이 끝나서 벡터화되면 새로운 문장이 들어와도 동일 단어는 동일한 벡터가 됩니다. 내가 과학 문서로 W2V를 학습시켰는데 법률 문서의 같은 단어를 가져와도 W2V를 적용하면 과학 문서에서 임베딩한 결과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 우리가 기대하는 것은 테스트 데이터(새로운 데이터)를 임베딩하라고 넣었을 때 ★주변의 단어에 따라서 같은 단어를 기존의 벡터와는 다른 벡터로 바꾸는 것을(임베딩) 기대합니다★ = 동적 임베딩 -> 단순 단어의 예측이 아니고 언어 구조와 문법을 다 익힌 것으로 연상 가능합니다. - 동적 임베딩 중의어, 동음이의어 : 다 다른 은행인데 옆의 의미를 보지 않고 무조건 (ex 101010)..

서론 교과목 5주차 고급 신경망 활용에 관한 내용을 정리합니다. 본론 - VQA 컴퓨터에게 사진을 주면서 사진에 관한 질문을 합니다. = 묻는 말이 이 영상에서 뭘 묻는 건지 영상과 자연어를 잇는 문제입니다. > 대답은 또 자연어로 답합니다. > 5지 선다로 객관식입니다. > 지금 비가 오고 있니? 자연어를 이해해서 영상에서 답을 찾아서 자연어로 대답을 하는 것입니다. => 코드 1. cnn 모델 2. rnn 모델 -> 임베딩 매개변수는 동일합니다. (단어의 종류 10000가지, 256 크기의 벡터로 바꿈, 최대 입력은 100개) + 256 벡터 100개가 쫙 있는데 이걸 lstml에 넣는다는 게 100 단어를 한 번에 넣는 게 아니고 첫 번째 넣고 두 번째 넣고 쭉쭉쭉 넣어서 100번째 단어를 넣습니다..

서론 이번 포스팅에서는 Tensorflow로 구현한 GAN을 MNIST dataset으로 학습한 후, 학습된 generator이 생성한 가짜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작업 환경은 Google Colab에서 진행합니다. -> 전체 코드 https://github.com/SangBeom-Hahn/AI_Paper_Review_Analysis/tree/main/Vanila_Gan GitHub - SangBeom-Hahn/AI_Paper_Review_Analysis Contribute to SangBeom-Hahn/AI_Paper_Review_Analysi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본론 - 목차 1. 학습에 필요한 util..

서론 실무에서 신입이 입사를 했어 그러면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이 환경 셋팅인데 그것을 하는 순서와 방법, 프로세스를 적어보겠습니다. 본론 - jenkins, redmine, git, vscode를 연동 1. vscode 와 git 1) 이렇게 연동해도 되지만 2) 일반적으로는 mkdir해서 git clone 하는 것이 더 많습니다. 2. redmine이랑 git 적용 레드마인이 이슈를 관리해 주는 애인데 git이 레드 마인 안에서 버전 관리 시스템인 주기적인 버전 업로드를 할 수 없다. 따라서 crontab 명령어를 써서 주기적으로 폴더를 refresh 합니다. ∵ 레드마인에 저장소를 연동시키면 그냥 정적인 폴더이다. 클론 탭으로 폴더를 계속 업데이트합니다. > 이렇게 해야 레드마인이 변화를 보고 이슈를..

서론 Generative Visual Manipulationon the Natural Image Manifold은 제목 그대로 이미지의 자연 상태에서 시각적인 조작을 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본 포스팅에서 주요 내용 위주로 논문을 번역/ 요약하였습니다. > 논문에서는 이미지 조작을 실시간으로 대화형(interactive)으로 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IGAN이라고 부릅니다. official pix2pix의 저자분들께서 제안하셨으며 GAN을 대화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과 동시에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까지 제공합니다. 틀린 내용이 있으면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논문 제목 : Generative Visual Manipulation on the Natural Image Manifold - ..

서론 교과목 2주차 현업의 개발 프로세스와 도커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본론 - 실무 sw 개발 프로세스 => 개발 프로세스 + 도구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구현 > 통합+테스트 > 배포가 기본 프로세스입니다. -> 단계별 도구(학교에서 배울 것을 기준!) 1. 요구사항 분석 : 기능+비기능 등 프로젝트의 이해 당사자의 모든 의견으로 만들어집니다. 2. 설계 : uml 툴 4. 통합+테스트 : 형상관리 = git/ 변경 관리 = 레드마인 5. 배포 : 젠킨스(CI/CD) - 소프트웨어 구조적 분석 및 설계 => 프로그램과 소프트웨어의 차이 소프트 :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과정 전부다(산출물, 과정, 체계 = 프로그램 + 문서 + 처리 절차) 프로그램 : 코드( = 바이너리) => 분석의 중요성 정부과..

서론 교과목 5주차 강의 내용을 정리합니다. 본론 - faster rcnn 복습 => rpn 1. 어디에 있냐를 예측해야 하는데 어떤 모양으로, 어떤 크기로 있는지도 모르기 때문에 아는 게 없습니다. 2. 아무것도 모르는데 예측하 는 건 말이 안 되니 기본 틀을 만들어 두고 이 크기로 물체가 있을 거다라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 실제로 물체가 어떻게 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예측하라고 하면 말도 안 되는 말입니다. 3. 그래서 미리 "이럴 거다~"는 식으로 만들어 놓습니다. > 전체를 격자로 쪼개고 (이것도 하이퍼 파라미터입니다.) 격자의 점을 중심으로 k개의 앵커박스를 준비하고 다음 한 칸 옆 픽셀에서도 그 점을 중심으로 k개를 준비합니다. > 지역으로 제안할 후보(candidate)가 엄청 많은데 그 ..
서론 교과목 5주차 수업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본론 - 지속적 통합 => 문제점 내가 하면 잘 돼, 쟤가 하면 안 돼!! > 보편적으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가 여러 명이 개발을 같이 하여 버전 차이와 에러가 여러 곳에서 발생했기 때문인데 이것을 예전에는 손수하거나, 개발자의 높은 고집 때문에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 정의 여러 개발자가 수행한 코드 변경 사항을 단일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지속적으로 통합하는 활동(여러 명이 개발을 하면 계속해서 각자 만든 코드를 모아야 하는데 이를 자동화하여 지속적으로 계속 모으겠다! 즉, 지속적으로 코드를 모으는 것을 자동화하겠다는 것입니다.) - 지속적 배포 => 정의 지속적으로 자동으로 모은 것을 지속적으로 배포하는 것 => 요약 모으고 제품으로 배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