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2/06 (2)
개발자로 후회없는 삶 살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8pDc/btsL94oeIN5/uvV58FTvYFCQyzv9TDXXpK/img.png)
서론※ 아래 내용을 다룹니다.개발 환경 CICD개발 + 운영 환경 CICD개발 + 운영 + QA 환경 CICD 본론- 다양한 배포 시나리오1) 로컬 작업 내용을 개발 환경에 배포2) 로컬 작업 내용을 개발 환경에 배포하고 릴리즈 브랜치를 간접적으로 사용하여 운영 환경에 배포3) 로컬 작업 내용을 개발, QA, 운영 환경에 배포4) 로컬 작업 내용을 개발, QA, 스테이징 환경에 배포하고 승인 시 운영 환경에 배포다수의 인원이 하나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개발을 진행할 때, git flow 방식을 사용하면 위와 같은 시나리오로 개발과 테스트, 배포를 하게 된다. 2번 내용에서 릴리즈 브랜치를 두는 이유는 아래에서 알아보자. -> CICD 프로세스1) CI : 변경된 코드의 테스트 코드가 성공하는지 확인하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NN11/btsL7kloVM0/fVsBUdrnoTvQe75yGsROCK/img.png)
🚨 서론 (문제 상황)이슈를 생성했을 때, 특정 키워드 [critical, normal]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해당 키워드가 포함된 슬랙 채널에 훅을 날리고 싶은 상황이다. 워크플로우는 위와 같이 작성할 수 있다. 1) 이슈의 제목이 critical 키워드가 있다면 크리티컬 웹 훅 URL로 훅 전송2) normal도 동일이슈의 제목이 critical이냐 normal이냐를 따지게 되면 추후 다른 키워드가 추가될 때마다 워크에 if문이 추가된다. 하지만, 키워드가 증가하게 되면 중복된 코드 작성이 수반된다. 1) 키워드 개수만큼의 if문을 사용하여 실행할 잡과 스킵할 잡을 선택2) 키워드 개수만큼의 웹 훅 URL 시크릿 값 수정만약 키워드의 개수가 5개라면 매번 중복된 작업을 해야하고 이는 매우 비효율..